뚱띠의 오늘 이야기
河回別神 굿 탈놀이 (1) : 2010년 5월 22일
한남수
2010. 5. 25. 16:36
河回別神 굿 탈놀이 (1)
우리나라에는 여러지방에서 전수되여 내려오는 탈춤들이 있다.
아주 간단하게 살펴보면
*서울과 경기도 일원의 송파 산대놀이와 양주별산대놀이.
전문적인 유랑놀이패가 놀던 본산대놀이를 본딴 탈춤이다.
양주별산대놀이는 딱딱이패 또는 본산대놀이에서 흘러온 것이며,
송파산대놀이는 구파발 본산대놀이를 흉내 내어 전승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황해도의 봉산 탈춤, 강령 탈춤, 은율 탈춤.
황해도의 탈춤은 전체적인 내용이 산대놀이와 별로 다르지 않다.
상좌춤과 팔먹중의 역할과 대사, 노장 과장, 양반 과장, 미얄할미과장 등
전체적으로 인물의 성격이나 놀이 내용이 비슷하다.
*경남의 수영야류, 동래야류, 통영 오광대, 고성 오광대, 가산 오광대.
낙동강변을 따라 놀았던 유랑극 집단인 대광대패의 가면극에서 전승되었다고 보고 있다.
그래서인지 신성한 의식의 내용보다는 단순한 오락적 내용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탈의 생김새나 춤사위, 그리고 주로 마을의 의식과 함께 행해진는 것으로 보아
상업적이기보다는 고유의 향토성을 지니는 행위로 보고 있다.
*함경남도 북청 사자놀음
*강원도의 강릉관노가면극
(내용의 의미가 안동 하회별신 굿 탈놀이와 비슷함)
*경북 안동의 하회별신 굿 탈놀이
하회별신굿탈놀이는 정월 대보름에 행해지는 별 신굿에서
신 내리기를 기다려 강신(降神)한 서낭대를 받쳐 놓고 탈놀이를 벌이는 것이다.
그래서 마을의 풍요를 기원하는 의식으로 보아도 괜찮을 것 이다.
"무동 마당"
"주지 마당"
(끝부분에 암컷이 이기는것은 다산과 풍농을 기원하는 의미)
"백정 마당"
"할미 마당"
우리나라에는 여러지방에서 전수되여 내려오는 탈춤들이 있다.
아주 간단하게 살펴보면
*서울과 경기도 일원의 송파 산대놀이와 양주별산대놀이.
전문적인 유랑놀이패가 놀던 본산대놀이를 본딴 탈춤이다.
양주별산대놀이는 딱딱이패 또는 본산대놀이에서 흘러온 것이며,
송파산대놀이는 구파발 본산대놀이를 흉내 내어 전승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황해도의 봉산 탈춤, 강령 탈춤, 은율 탈춤.
황해도의 탈춤은 전체적인 내용이 산대놀이와 별로 다르지 않다.
상좌춤과 팔먹중의 역할과 대사, 노장 과장, 양반 과장, 미얄할미과장 등
전체적으로 인물의 성격이나 놀이 내용이 비슷하다.
*경남의 수영야류, 동래야류, 통영 오광대, 고성 오광대, 가산 오광대.
낙동강변을 따라 놀았던 유랑극 집단인 대광대패의 가면극에서 전승되었다고 보고 있다.
그래서인지 신성한 의식의 내용보다는 단순한 오락적 내용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탈의 생김새나 춤사위, 그리고 주로 마을의 의식과 함께 행해진는 것으로 보아
상업적이기보다는 고유의 향토성을 지니는 행위로 보고 있다.
*함경남도 북청 사자놀음
*강원도의 강릉관노가면극
(내용의 의미가 안동 하회별신 굿 탈놀이와 비슷함)
*경북 안동의 하회별신 굿 탈놀이
하회별신굿탈놀이는 정월 대보름에 행해지는 별 신굿에서
신 내리기를 기다려 강신(降神)한 서낭대를 받쳐 놓고 탈놀이를 벌이는 것이다.
그래서 마을의 풍요를 기원하는 의식으로 보아도 괜찮을 것 이다.
"무동 마당"
"주지 마당"
(끝부분에 암컷이 이기는것은 다산과 풍농을 기원하는 의미)
"백정 마당"
"할미 마당"